학습한 모든 것들을 기억하기 위한 4가지 전략
(4 Starategies For Remembering Everything You
Learn)
출처: http://www.businessinsider.com/strategies-for-remembering-everything-you-learn-2014-8
만약 당신이 어떤 것이든 배우게 된다면, 당신은 2가지 사전지식이 필요할 것이다.
If
you're going to learn anything, you need two kinds of prior knowledge.
- 수학이나 역사, 프로그래밍 등의 쉽게 접할 수 있는 주제에 대한 지식.
Knowledge about the subject at hand, like math, history, or
programming.
- 어떻게 실제로 학습이 이뤄지는가에 대한 지식.
Knowledge about how learning actually works.
나쁜 소식은 우리의 교육 체계에서 둘 중 하나는 약간 생략하고 지난다는 점이다. 이는 당신의 학습능력이 학교에서의 성과를 내는 것에서 부터 직장에서 성공하는 것까지의 모든 삶에서 성공을 예측해볼 수 있는 큰 변수같은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무서운 일이다. 모든 능력의 학습 후 학습한 것을 완숙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bad news: Our education system kinda(=kind of) skips on of them, which is
terrifying, given that your ability to learn is such a huge predictor of
success in life, from achieving in academics to getting ahead at works. It all
requires mastering skill after skill.
심리학 기고가 애니 머피 폴의 말에 따르면, "부모와 교육자들을 첫 번째 종류의 지식을 전달하는데 있어 상당히 좋습니다. 우리는 이름과 날짜, 숫자, 사실과 같은 구체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편안하게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학습의 초인지적 측면 같은 학습 그 자체에 행위에 다한 가이드는 좀 부주의하게 됩니다.
"Parents
and educators are pretty good at imparting the first kind of knowledge,"
shares psych writer Annie Murphy Paul. "We're comfortable talking about
concrete information: names, dates, numbers, facts. But the guidance we offer
on the act of learning itself - the 'metacognitive' aspects of learning - is
more hit-or-miss, and it shows.
새로운 교육연구는 낮은 성취도의 학생들이 사람들이 학습을 잘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지 전략에 대한 이해가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을 보였다. 폴의 말에 따르면 이 연구는 학생들의 낮은 수행능력의 원인 중 일부는 그들이 학습이 실제로 어떻게 발생하는가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To
wit, new education research shows that low achieving students have
"substantial deficit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strategies that allow people to learn well. This, Paul says, suggests that part
of the reason students perform poorly is that they don't know a lot about how
learning actually works.
이 것은 문화 전반에 걸친 주제이다.
It's
a culture wide issue.
세인트 루이스에 위치한 워싱턴 대학의 심리학자이자 "Make It
Stick: 성공적 학습 과학"의 공동저자인 헨리 로데거와 마크 맥다니엘은 우리가 어떻게 가르치고 학습하는가는 이론과 구전지식, 직관력의 거대한 혼합이라고 이야기한다.
Henry
Roediger and Mark McDaniel, psychologist at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and coauthors of "Make It Stick: The Science of Successful Learning,"
say that "how we teach and study is largely a mix of theory, lore, and
intuition.
그러니 구전지식의 가르고 지나가자. 여기에 실제로 작동하는 학습 전략들을 실어놓았다.
So
let's cut through that lore. Here are learning strategies that really works.
상기시키도록 스스로 강요해라.
Force yourself to recall.
효과적 학습에서 최소한 재미있는 부분은 이 것이 힘들다는 점이다. 사실 "Make It Stick"의 저자들은 학습과정에서 그것이 어려울 때, 당신의 능력의 한계에서 무거운 중량을 들어올리는 것이 당신을 더 강하게 하는 것과 같이 당신의 최선을 다해 배우려고 하라고 주장한다.
The
least-fun part of effective learning is that it's hard. In fact, the "Make
It Stick" authors contend that when learning if difficult, you're doing
your best learning, in the same way that lifting a weight at limit of your
capacity makes you strongest.
스스로에게 정보를 상기하도록 강제하는 이 방법의 장점을 취하는 일은 단순하지만, 쉽지 않다. 플레쉬 카드는 당신에게 답을 하도록 강제하기 때문에 이 전략에 좋은 협력자이다.
It's
simple, though not easy, to take advantage of this: force yourself to recall a
fact. Flashcard are a great ally in this, since they force you to supply
answers.
익숙함(유창함)에 빠지지 말아라
Don't fall for fluency
당신이 어떤 것을 읽을 때 그것이 쉽게 느껴진다면, 당신이 경험한 것이 익숙함(유창함)이다.
When
you're reading a something and it feels easy, what you're experiencing is
fluency.
이는 당신을 곤란에 처라게 할 것이다.
It'll
only get you in trouble.
예: 예를 들어 당신이 공항에 있고, 당신이 타야 할 시카고 행 비행기가 대기하고 있는 터미널을 기억하려고 한다고 해보자. 당신은 터미널 전광판을 찾을 것이다. 그 터미널은 B44이고, 당신은 오, B44군, 이거 쉽네, 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은 즉시 어디로 가야 할지를 잊은체 한가하게 당신의 휴대전화를 확인하며 걸어갈 것이다.
Example:
Say, for instance, you're at the airport and you're trying to remember which
gate your flight to Chicago is waiting for you at. You look at the terminal
monitors - it's B44. You think to yourself, oh,
B44, that's easy. Then you walk away, idly check your phone, and
instantly forget where you're going.
다른 방법: 당신은 게이트 번호를 읽은 다음 전광판으로 부터 멀어져 스스로에게 게이트 번호가 몇 번이지? 하고 스스로에게 묻는다. 만약 당신이 그 번호가 B44라는 것을 상기할 수 있다면, 당신은 잘 갈 수 있을 것이다.
The
alternative: You read the gate number. Then you turn away from the monitor and
ask yourself, what's the gate? If you
can recall that it's B44 you're good to go.
오래된 것들과 새로운 것을 연관 짓기.
Connect the new thing to the old things.
"당신이 새로운 학습 내용을 사전지식과 연관시키는 방법에 대해 더 많이 설명할 수 있을 수록 새로운 학습 내용에 대해 당신은 더 잘 이래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Make It Stick"의 저자들은 서술했다.
"The
more you can explain about the way your new learning relates to prior
knowledge," the "Make It Stick" authors write, " the
stronger your grasp of the new learning will be, and the more connections you
create that will help you remember it later."
당신의 새로운 실들을 당신의 원래 존재하던 지식의 그물에 엮었을 때, 당신은 좀 더 정교해진다.
When
you're weaving in new threads into your pre-existing web of knowledge, you're
elaborating.
한 핵심 기법은 당신이 배운 원리와 관련된 실제 삶 예들을 찾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불완전 운
(韻)에 대해서 배웠다면, 당신은 그 기법이 사용된 시를 읽을 수도 있다. 만약 당신이 열전달에 대해서 배웠다면, 당신은 추운 겨울날 따듯한 코코아 컵에서 사라진 열이 당신의 손으로 전달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One
killer technique is come up with real-life examples of principles you've just
uncovered. If you've just learned about slant rhyme, you could read poems that
exhibit it. If you've just discovered heat transfer, you could think of the way
a warm cup of cocoa disperses warmth into your hands on a cold winter's day.
Reflect,
reflect, reflect.
돌아보고, 돌아보고, 돌아봐라.
뒤돌아 보는 것은 도움을 준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연구를 보면, 콜 센터에 속한 직원들 중 하루가 끝날 때 15분 동안 그들에 일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진 직원들은 그렇지 않은 직원들에 비해서 22.8 % 더 놓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Looking
back helps. In a Harvard Business School study, employees who were onboarded to
a call center had 22.8 % highe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y
spent just 15 minutes reflecting on their work at the end of the day.
HBS 교수인 프란체스카 지노는 우리에게 "사람들이 돌아볼 기회를 가졌을 때, 그들은 자체 효능감에 의한 부양력을 경험한다,"거 말했다. "그들은 더 그들이 어떤 것을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을 더 많이 느낍니다. 그 결과, 그들은 그들이 하는 일과 그들이 배우는 일에 더 많은 노력을 합니다.
"When
people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y experience a boost in
self-efficacy," HBS professor Fancesca Gino tells us. "They feel more
confident that they can achieve things. As a result, they put more effect into
what they're doing and what they learn."
돌아보는 것은 마치 일을 적게 하도록 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더 많은 일들 성취하도록 합니다.
While
reflecting may seem like it leads to working less, it leads to achieving more.